뉴스, 이슈

2022년 청년희망적금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부터 미리보기까지

감자우유 2022. 6. 13. 16:00
반응형

2022년 청년희망적금이란?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해 펼치는 공공 지원사업으로 가입기간 2년 동안 저축장려금, 이자,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리고 은행 이자에 더하여 1년 차는 납입액에 대해서 연 2%, 2년 차에는 4%의 저축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했다면 최대 36만 원의 저축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2년 청년희망적금 가입 자격조건

  •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현재 2022년 3월 4일 청년희망적금 판매는 종료되었으며, 재판매 여부는 7월에 검토하여 발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단, 청년 희망적금 제외대상은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한 경우이다. 그 외에는 직업에는 따로 제한이 없으며 공무원일 경우에도 소득 및 나이 요건이 충족되면 가입이 가능하나 대학생 신분일 경우 신청 불가능하다.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금리

11개의 은행 모두 기본금리는 5%로 같지만 우대금리의 경우 0.5 ~ 1.0% 포인트로 다르기 때문에 은행마다 상담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KB국민은행 : 최고 금리 연 6.0%(우대금리 포함)
  • 기업은행 : 최고 금리가 연 5.9%
  • 신한·하나·우리은행 : 연 5.7% 
  • NH농협·대구·부산·제주은행 : 연 5.5%

청년희망적금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간단하게 계산해보면 연 5%의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여 2년간 50만 원씩 납부할 경우, 저축장려금과 함께 비과세 혜택을 더하면 1,298만 5,000원을 받게 된다. 이처럼 나의 만기금액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다.

청년희망적금 미납 시 불이익

청년희망적금의 매월 납입금에 대해서는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이 해지되거나, 금리가 낮아지는 등의 불이익은 없습니다. 단, 미래의 내가 받을 수 있는 수령금액이 줄어들 수 는 있습니다. 또한, 미납했던 금액에 대해서는 최대 50만원까지 추가납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하지 않고 나의 수준의 맞게 꾸준히 저축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추가납입 방법에 대해서는 해당 은행 어플 하단에 추가납입 버튼을 통해 손쉽게 입금할 수 있다.

 

반응형